호주 재무부는 21일, 암호화폐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라이선스 제도 및 커스터디 요건에 관한 자문 문서를 발표했다. 5월 27일까지 업계나 일반으로부터의 피드백을 모집하고 있으며 동시에, 올해 말까지 암호화폐의 분류를 완료할 예정으로 참고를 위해 토큰 종류에 대한 의견도 요구하고 있다. 이 자문 문서의 공개와 의견 모집은 호주 정부에 의한 암호화폐의 규제 명확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보고 있다. 조쉬 프라이덴버그 재무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포괄적인 결제 시스템 개혁의 일환으로 암호화폐 라이선스 제도의 도입을 시사하며 업계와의 협의를 시작할 의향을 밝혔다. 이 문서의 공개에 있어 제인 흄 디지털 경제 담당 장관은 소비자가 암호화폐 거래로 거래소를 신뢰할 수 있는 체제 구축에 임하고 있다며 "정부는 회화나 기업의 주식을 보증하지 못하듯 암호화폐를 보증할 수도 없다. 또한,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그러나 거래소, 커스터디 회사, 브로커 등 호주에서 암호화폐 생태계에 종사하는 사업자가 보다 뛰어나고 안전하고 견고한 규제의 틀 안에서 운영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재무부는 '가장 적절한 규제 대상'은 투자자와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미 재무부는 최근 자금세탁에 대한 위험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자금세탁 수단의 하나로서 암호화폐에 대해서도 항목이 마련되어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암호화폐에 의한 자금세탁은 법정통화나 기타 기존 자산을 활용한 자금세탁보다 훨씬 적었다. 한편, 암호화폐가 마약 밀매, 사기, 랜섬웨어 공격 등의 수익 세탁, 제재 회피 등에 사용되는 움직임은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한다. 재무부는 미국 외의 암호 자산 서비스 프로바이더(VASP), P2P거래, 익명화 서비스 등에 대해서 자금세탁 위험과의 관련하여 설명했다. 우선, 미국 외의 암호화폐 거래업자에 관해서는 부정한 행위자가 고객 신원 확인 등의 규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나라나 지역 사업자를 이용하고 자금세탁을 하는 위험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유저끼리 P2P에서 개인 지갑의 암호화폐를 교환함으로써 금융 서비스 사업자를 거치지 않고 거래를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에는 적용되는 미국의 법적 준수 의무의 대부분이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한편, 보고서는 P2P거래가 퍼블릭 블록체인상에서 열린 경우에는 조사관이 블록체인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거래를 추적할 수 있다고…
라이트코인(LTC)의 창시자로 알려진 찰리 리는 18일 프라이버시 기능 'MWEB'를 포함한 대형 업데이트 'Litecoin Core 0.21.2'가 곧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Litecoin Core 0.21.2'는 현재 테스트넷을 통해 버그가 수정되고 있다. 이번에 주목되고 있는 'MWEB'의 테스트는 대부분 완료되었으며, 이에 댜대해 찰리 리는 커뮤니티에 감사의 뜻을 표명했다. 이미 버그의 최종 확인을 실시하는 테스트 단계인 'rc5(Release Candidate 5)'에 도달했고 계속해서 커뮤니티에 버그 보고 등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MWEB는 'MinbleWinble Extention Block(민블 윔블 확장 블록)'의 약어이다. 라이트코인 재단의 제안으로 2년 이상의 개발·테스트 기간을 거쳐 사이버 보안 기업 Quarkslab의 코드 감사가 완료된 커뮤니티 대망의 업그레이드가 되어 올 2월 1일에 라이트코인 업데이트 'Litecoin Core 0.21 .2'내에서 구현되는 것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해리 포터'에 등장하는 주문에서 명명된 'MinbleWinble'은 거래의 투명성이 높은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해 '옵트인' 방식으로 프라이
미국의 알론드라 넬슨 대통령 부보좌관은 지난주 암호화폐 관련 대통령령에 대해 정부의 우선 사항을 설명하는 블로그 기사를 발표했다. 넬슨은 청와대 과학기술정책국(OSTP)의 국장이자 암호화폐 정책에 대해서도 주요 역할을 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배경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9일 '디지털 자산의 책임 있는 발전 실현'을 내세우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이 대통령령은 미국이 민주적 가치관과 경쟁력 하에서 디지털 자산 영역을 주도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목적이 있다. 넬슨은 대통령령으로 미국이 디지털 자산에 임해 나가는데 중요한 분야로 다음 3가지를 들고 있다. 금융 시스템의 공정성과 금융포섭 추진 부정한 금융 행위 억제 디지털 자산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 이해 넬슨은 우선 첫 번째 항목에 대해 현재도 저소득 가구나 소수자 가구에는 은행 계좌가 없는 가구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가운데 디지털 자산은 “수수료를 절감하고 중간업체를 배제하여 금융서비스를 보다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디지털 자산이 이러한 금융포섭을 촉진하는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계속했다. 개발 등에 있어서 적극적인 계
암호화폐 거래소 및 결제 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Crypto.com(크립토닷컴)은 15일 자사의 거래소인 'Crypto.com Exchange'가 미국에서 정식으로 서비스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Crypto.com Exchange는 암호화폐 거래 및 파생상품, 렌딩 등을 취급하는 크립토닷컴의 독자적인 거래소다. 이번에 미국에서 정식으로 일반 서비스로 개설이 결정되어 앞으로 몇 개월 동안 순차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현재는 웨이트 리스트 등록이 시작되었고, 우선은 일부 기관 투자가에 대한 초대장 발송부터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의 서비스 개시에 대해 크립토닷컴의 CEO인 Kris Marszalek씨는 "우리는 전문 트레이더를 위한 서비스를 미국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Crypto.com Exchange는 초기 런칭 단계에서 미국 기관 투자자를 지원하며, 가능한 한 빨리 시일 내에 모든 사람에게 전개될 예정이니 기대해달라"라고 말했다. 타임스탬프 뉴스, 편집부 desk@timestampnews.net
미국 결제 대기업 비자(Visa)는 신규 졸업자를 대상으로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개발하는 프로그램 부문의 인력을 모집하고 있다. 비자는 '암호화폐 분야에서 풍부한 전문 지식을 갖고 강력한 엔트리 수준의 인력 공급원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꼽았다. 이 프로그램에 고용된 경우, 18개월 사이에 다음 3개의 직무를 체험할 수 있다. 암호화폐 관련 제품의 개발 암호화폐 솔루션 디지털 파트너십 우선 암호화폐 관련 제품 개발팀에서 프로그램 참가자는 암호화폐나 비자의 신상품 개발 방법에 대해서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DeFi(분산형 금융), NFT(대체불가토큰), 스테이블 코인, CBDC(중앙은행 디지털 통화) 등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얻어 암호화폐에 관해서 신제품을 개발할 기회를 찾아간다. 암호화폐 솔루션 팀에서는 암호화폐 기업이 비자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 파트너 기업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 등을 배울 수 있다. 이어, 은행에 대한 컨설팅에서 암호화폐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것이나 새로운 암호화폐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암호화폐 스타트업의 사업 개발 등을 지원하는 것도 꼽혔다. 디지털 파트너십 팀에서는 비자의 운영…
NFT(대체불가토큰)정보를 제공하는 NonFungible.com은 10일, NFT시장에 관한 연간 보고서(2021년)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NonFungible.com과 디지털 시장 분석 기업 L'Atelier BNP Paribas가 공동으로 발표했으며, NFT시장 전체 거래액이 2021년에 176억 달러에 이른 것을 보고하고 있다. 2020년 8,200만 달러 대비 약 200배 증가한 셈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NFT를 연간 한 번 이상 거래한 활성화 디지털 월렛의 수는 2021년에 250만 이상에 달했다. 이 수치도 전년도의 8만 9천에 비해 크게 급증했다. NFT 시장의 시총은 2020년 약 3.7억 달러에서 2021년 약 170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NFT의 평균 가격은 약 50달러에서 약 810달러로 상승했다. NFT에 사용되는 주요한 블록체인 4개를 비교하면 이더리움(ETH)이 76%로 대부분을 차지했고(시장 전체에서는 78%), 인기 NFT게임 엑시 인피니티의 로닌(Ronin)체인이 19%, NFT카드 콜렉션 NBA톱 샷 등에 사용되는 플로우(Flow)체인이 5% 순이었다. 또 21년 4월 출범한 Immutable X의 체인도 1%를 차지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10일, 'Astar Network(ASTR)’와의 제휴를 발표했다. 공동으로 지원 프로그램 'Astar Incubation Program'에 임한다. Astar Incubation Program은 Web3.0(분산형 웹) 분야에 종사하는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다. 2월에 설립이 발표되어, 이미 DeFi(분산형 금융) 플랫폼 'ArthSwap'등이 지원 대상으로 선출되고 있다. 프로그램은 마케팅 서포트나 멘토 네트워크의 제공 등을 실시해, 지원 대상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지원한다. 선정된 기업은 무료로 기술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는 'Microsoft for Startups Founders Hub'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는 Github Enterprise나 Microsoft Teams, Azure 크레딧(최대 15만 달러/4년)을 통해 최대 35만 달러를 제공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제휴에 대해, '아스타 네트워크'의 창립자인 Stake Technologies 주식회사의 와타나베 창타 CEO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스타 생태계의 인큐베이트 프로젝트에 제공하는 리소스는 기업을 크게 지원할 것이
암호화폐 회의파로 정평이 있는 미국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민주당)은 9일, 러시아가 암호화폐를 이용하고 경제제재를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한 관련 법안을 초안하고 있다며 이를, NBC뉴스 등이 보도했다. 미국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나의 새로운 법안은 푸틴이나 그의 동료가 암호화폐를 이용해 제재를 피하는 것을 막는 목적이 있다."며 언급했다. 법안의 명칭은, 'War Against America Act'로 주로 2차적 제재를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암호화폐 거래소 등 업체가 제재 대상이 되고 있는 러시아의 개인이나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원과 개인 지갑의 거래 기록을 재무부에 보고하는 것을 요구한다. 준수하지 않는 해외 업체에게는 '2차 제재'를 부과하게 된다. 워런 의원 및 상원의 3개 주요 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주 사태가 심각화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을 배경으로 한 미국 정부의 러시아 제재 하에서 재무부가 러시아가 암호화폐를 이용해 제재를 피할 위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지에 대해, 옐런 재무 장관에게 정보 공유를 요구한 배경이 있다. 워런 의원뿐만 아니라 공화당의 린제이 그램 상원 의원도 지난
미 재무부는 9일, 바이든 대통령의 암호화폐에 관한 대통령령에 대해 옐런 재무장관의 성명을 앞서 공개했다. 성명 공개일자는 미국 시간으로 9일이며, 지금까지의 보도대로 미국 시간 수요일에 암호화폐 관련 대통령령의 발령이 거의 확정된 모습이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대통령령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의 역사적인 대통령령은 디지털 자산의 규제에 관한 협조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호소하는 것이다. 이는 국가와 소비자, 그리고 기업에 큰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책임있는 혁신을 지원한다." 라고 밝혔다. 불법 금융의 위험을 줄이면서 소비자 및 투자자 보호를 추진하면서 금융 시스템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명에 따르면, 대통령령은 재무부나 여러 정부기관에 연계하여 ‘돈과 결제 시스템의 장래’에 관한 조사 리포트 제작을 의무화한다. 또 재무부 산하의 금융안정감시위원회(FSOC)에 암호화폐로 인한 금융위험에 대처하는 방지책이 놓여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재무부에 명한다. 게다가 암호화폐 범죄에 있어서는 국경간의 문제도 부상하기 때문에 재무부 측은 “국제적으로 연계해 견고한 기준과 공평한 경쟁을 추진해 나간다”는 자세도 나타냈다. 또, 21년 5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