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과 함께 알레르기 관리하기’

 

(타임스탬프)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동물에 대한 알레르기 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약 15~30%에서 알레르기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 중 특히 고양이 알레르겐은 알레르기 증상을 개보다 2배 이상 일으킨다. 또한 직접 고양이를 키우지 않아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알레르기란 '보통은 해가 없는 물질에 대해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사람은 집먼지진드기와 같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물질에 문제가 없지만, 특정한 사람들은 이를 몸에 침입한 유해한 물질로 여겨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한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바퀴벌레, 실내 곰팡이 등이 흔한 알레르겐이다. 이런 물질들은 대개 숨을 쉴 때 코로 들어오므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과 같은 비염 증상이나 호흡곤란, 쌕쌕거림, 기침과 같은 기관지천식 증상을 일으킨다. 

음식물도 중요한 알레르겐인데, 음식물로 인한 대표적인 알레르기 증상은 음식을 먹은 후 몇 분 또는 몇 시간 안에 나타나는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급성중증과민증) 등이다.
아이가 고양이를 키우는 친구 집에 놀러 갔다 옷에 묻혀 온 고양이 알레르겐에 의해 알레르기 질환이 나빠질 수 있으며, 이전에 고양이를 키웠던 집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 몇 달 동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져 고생할 수 있다.

반려동물 근처에 가거나 만지고 나서 눈 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코막힘, 기침,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해진다면 알레르기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이 검사는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알레르겐에 대해 면역반응을 보이는 체질인가를 평가하는 검사다.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하기 위해 반려동물 알레르겐을 피부에 떨어뜨리고 바늘로 '따끔'하게 찌른 후 15분 정도 기다린다. 만약 양성이라면 모기에 물린 것처럼 부풀어 오르고 주변이 붉게 변한다. 혈액 검사로 반려동물 알레르겐과 반응하는 면역글로불린 E(IgE) 항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에서 유래하는 알레르겐은 털 자체가 아니라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 대변, 소변과 침에 들어 있는 단백질 성분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다고 알레르겐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물론 털에 알레르겐이 많이 묻어 있으므로 알레르겐의 양을 줄일 수는 있지만, 궁극적인 해결 방법이 되지는 않는다.

반려동물은 '반려'라는 호칭이 붙을 정도로 가깝고 아끼는 존재인 만큼 보호자는 알레르기가 있더라도 반려동물과 절대로 헤어질 수 없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환경을 관리하고 항히스타민제 등으로 알레르기 증상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지낼 수 있다. 

알레르기 치료제는 먹는 스테로이드가 아니면 오랫동안 사용해도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입으로 흡입하는 스테로이드나 코 안에 분무하는 스테로이드 형태의 경우 전신이 아닌 몸의 일부에만 작용하므로 장기적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면역치료를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체질을 바꿀 수도 있다. 즉 '원인 알레르겐을 피할 수 없다면 싸워 이기자'라는 접근이다. 

면역치료는 크게 초기 치료와 유지 치료의 두 단계로 구분된다. 초기 치료는 처음에 낮은 농도의 알레르겐을 소량씩 투여하고 점차 양을 늘려 나가 부작용이 없으면서 증상이 나아지는 최대 알레르겐 농도까지 투여하는 단계다. 

유지 치료는 일정량을 주기적으로 투여하여 이를 유지하는 단계다. 보통 3~5년 동안 치료하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처음에는 알레르기 치료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

주간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