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암호화폐 기업 ‘디뱅킹’ 논란 지속…트럼프 행정부의 개입과 업계의 기대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들이 수년간 은행 계좌 폐쇄 및 금융 서비스 거부라는 ‘디뱅킹(de-banking)’ 문제에 직면하며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위험 회피(de-risking)’라는 명목 아래 진행되어 왔으나, 많은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들은 이를 디지털 자산 산업을 억압하려는 정책적 노력, 즉 ‘오퍼레이션 초크포인트 2.0(Operation ChokePoint 2.0)’의 연장선으로 인식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親)암호화폐 진영이 선거에서 승리한 후, 많은 이들은 디뱅킹 시대가 끝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의 선거 유세 발언과 초기 정책 움직임은 디지털 자산에 우호적인 환경을 시사하며 은행들이 암호화폐 고객에 대한 제한을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다. 그러나 최근 사례들은 이러한 관행이 여전히 뿌리 깊게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주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파트너 알렉스 램펠은 대형 은행들이 코인베이스(Coinbase)나 로빈후드(Robinhood)와 같은 플랫폼에 대한 계좌 데이터 접근 또는 자금 이체 수수료를 인상하는 방식으로 핀테크 및 암호화폐 앱을 압박하는 ‘오퍼레이션 초크포인트 3.0’이 진행 중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우려에 공감하며 유니코인(Unicoin)의 CEO 알렉스 코나니킨은 코인텔레그래프에 미국 은행들이 디뱅킹 관행을 중단하라는 정치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기업들의 계좌를 설명 없이 계속 폐쇄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나니킨 CEO는 “유니코인과 그 자회사들이 여러 은행으로부터 설명 없이 디뱅킹을 당했다는 것을 직접 경험했다”고 증언하며, 지난 몇 년간 씨티은행(Citibank), 체이스(Chase), 웰스파고(Wells Fargo), 시티 내셔널 뱅크 오브 플로리다(City National Bank of Florida), TD 뱅크(TD Bank) 등 5개 은행이 유니코인 또는 그 자회사들과의 관계를 단절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올해에만 4개 은행으로부터 디뱅킹을 당했으며, 이는 ‘초크포인트’가 대규모의 전국적인 작전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매우 파괴적이고 해로운” 조건을 조성하여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 접근을 박탈하고 “미국 암호화폐 산업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이 코나니킨의 설명이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은행 규제 당국에 디뱅킹에 관여한 금융 기관을 식별하고 처벌하도록 지시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이 명령은 규제 당국이 민원 데이터를 검토하고, 중소기업청(SBA)의 감독을 받는 은행들이 불법적으로 서비스가 거부된 고객들을 복원하도록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코나니킨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된 행정 명령이 디뱅킹을 억제하여 업계에 안도감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표명했다. 그는 “대통령은 디뱅킹의 고통을 직접 알고 있으며, 미국 기업에 대한 이러한 형태의 경제 전쟁을 중단시키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디뱅킹 종식이 미국 암호화폐 산업을 활성화하고 국제적으로 할리우드나 실리콘밸리만큼 영향력 있는 분야로 성장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폭스 로스차일드(Fox Rothschild)의 세금 분쟁 및 소송 담당 파트너 엘리자베스 블리클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를 주류 금융에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변화는 규제 및 법률의 최종 문구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최근 서명된 지니어스 법(Genius Act)이 연방준비제도(Fed)의 스테이블코인 인증 검토 위원회에 180일 이내에 규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도록 권한을 부여했음을 언급하며, 대부분의 법안이 위원회를 통과하지 못하며, 어떠한 법률이든 규제 논쟁의 양측으로부터 소송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블리클리는 현재로서는 은행들이 새로운 규칙이 인지된 위험을 명확히 줄여줄 때까지 암호화폐에 대한 위험 회피적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결국, 암호화폐 산업의 미래는 정치적 의지와 더불어 명확하고 실질적인 규제 프레임워크의 마련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