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선 1년 존버, UAE선 전면 비과세…2025년 주목할 ‘크립토 택스 헤이븐’ 5선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각국 정부의 과세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국가들은 오히려 친화적인 세금 정책을 통해 ‘크립토 허브’로 발돋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과 관련 기업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025년을 맞아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대표적인 ‘택스 헤이븐(Tax Haven, 조세 피난처)’ 국가들을 유형별로 분석했다.

**1. ‘전면 비과세’의 천국: 케이맨 제도 & 아랍에미리트(UAE)**
전통적인 조세 피난처인 케이맨 제도는 암호화폐에도 예외 없이 소득세, 자본이득세, 법인세를 전혀 부과하지 않는다. 적극적인 트레이더부터 디파이(DeFi) 프로젝트까지 모든 유형의 투자자에게 이상적인 환경이다. 아랍에미리트(UAE) 역시 두바이, 아부다비 등 모든 토후국에서 개인의 암호화폐 관련 활동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특히 두바이 가상자산규제청(VARA) 등 명확한 규제 기관을 설립하여 법적 안정성까지 확보했다는 평가다.

**2. ‘장기 보유자’를 위한 혜택: 독일 & 포르투갈**
고세율 국가로 알려진 독일은 의외의 ‘장기 투자자 친화’ 정책을 펴고 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1년 이상 보유한 후 매도하면 자본이득이 전액 비과세된다. 단기 차익이 아닌 장기 가치 저장을 독려하는 정책이다. 포르투갈 역시 1년 이상 보유한 암호화폐 자산에 대해서는 자본이득세를 면제해준다. 다만, 1년 미만의 단기 거래 차익에 대해서는 28%의 세율을 적용하는 등 최근 일부 정책이 변경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3. ‘혁신 실험’의 선두주자: 엘살바도르**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엘살바도르는 여전히 가장 급진적인 비트코인 택스 헤이븐이다. 디지털 자산법에 따라 비트코인 거래로 발생한 소득이나 자본 차익에 대해 세금을 전혀 내지 않는다. 나아가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비트코인 시티’를 건설하며 소득세, 재산세, 자본이득세가 모두 없는 암호화폐 특구를 조성하고 있어, 관련 스타트업과 디지털 노마드들의 관심이 뜨겁다.

이처럼 각국의 암호화폐 세금 정책은 다양하다. 자신의 투자 스타일과 장기적인 계획에 맞춰 최적의 국가를 선택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만, 거주 요건이나 현지 법규 준수는 필수적이며, 각국의 정책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