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 美 암호화폐 정책 진전과 ‘디지털 자산 수도’ 비전 제시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가 국회의사당 건물 위에 서서 디지털 자산과 '지니어스 법'이 적힌 두루마리를 들고 있는 레트로 삽화.

수년간 글로벌 경쟁국들에 뒤처졌던 미국이 드디어 암호화폐 정책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와이오밍주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최근의 정책 발전이 전환점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루미스 의원은 지난주 의회에서 개최된 이른바 ‘암호화폐 주간(Crypto Week)’을 언급하며 “최소 두 가지 중요한 이정표가 있었다”고 말했다. 첫 번째는 결제형 스테이블코인을 승인하는 ‘지니어스 법(GENIUS Act)’이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받아 공식적으로 법률이 된 것이며, 두 번째는 ‘클래리티 법(CLARITY Act)’이 이제 상원 심의를 앞두고 있다는 점이다. 루미스 의원은 자신이 공동 집필한 상원 시장 구조 초안의 진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녀는 “4년 동안 초안을 작성하고 피드백을 받아왔다”며, “이제야 전면에 나서고 있지만, 이는 개발 단계에 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녀는 초당파적 지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우리는 추가적인 경청, 변경, 수정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견고한 투표를 얻었다”며, “이것이 초당파적인 산물로 유지되도록 매우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루미스 의원은 상원 법안의 차별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녀는 “우리는 ‘부수 자산(ancillary assets)’이라는 개념을 강조했다”며, 이는 “무엇이 증권이고 무엇이 상품인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개념은 암호화폐 자산의 규제 분류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를 넘어, 루미스 의원은 자신이 제안한 인공지능(AI) 관련 법안인 ‘RISE 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녀는 “AI는 상무 위원회의 관할권에 속한다”며, “디지털 자산 세계와 AI 세계 사이에는 일종의 공생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 법안은 책임 보호 및 직업적 책임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만약 정보의 일부가 AI 생성이며… 거짓이라면, 전문가는 이를 검증할 의무가 있다”고 그녀는 강조하며, “우리는 또한 일부 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미국에 대한 기대를 접었을지도 모르는 암호화폐 개발자들에게 전할 메시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루미스 의원은 “믿음을 잃지 말라. 우리는 깨어나고 있다”고 답했다. 그녀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디지털 자산의 세계적 수도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며, “도움이 오고 있다. 법안이 오고 있다. 도로의 규칙이 오고 있다”고 역설하며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시사했다.

루미스 의원의 발언은 미국이 그동안 미온적이었던 암호화폐 규제 환경을 개선하고, 기술 혁신을 포용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지니어스 법과 클래리티 법의 통과 및 추진은 이러한 의지를 구체화하는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부수 자산’ 개념을 통해 암호화폐 자산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관 투자자들이 더욱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I 관련 법안까지 언급하며 디지털 경제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은 미국이 미래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입법 노력은 미국의 암호화폐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