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이 자국 내 과잉 전력을 비트코인(BTC) 채굴 및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운영에 활용하여 국가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빌랄 빈 사킵 파키스탄 국무장관(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담당)은 최근 인터뷰에서 파키스탄이 최대 10,000메가와트(MW)의 잉여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용량 요금으로 인해 국가의 ‘부채’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맥락에서 해당 잉여 전력 중 2,000MW를 비트코인 채굴 및 AI 데이터 센터에 할당할 방침이다.
파키스탄 정부는 또한 메탄가스 등 부생 에너지원과 기타 잉여 또는 고립된 전력원을 활용한 비트코인 채굴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전력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에너지 효율성 증대와 함께 비트코인 채굴을 통해 디지털 자산 산업을 육성하고, 이는 다시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빈 사킵 장관은 신기술 채택에 있어 신흥 시장이 선진국을 ‘건너뛸’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파키스탄의 젊은 인구 구조(중위 연령 20세, 70%가 30세 미만)가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는 젊은 세대의 높은 디지털 이해도와 수용성이 새로운 기술의 확산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시각을 반영한다. 파키스탄은 이미 암호화폐 채택률에서 세계 5위권에 속하며, 4,000만 개의 암호화폐 지갑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파키스탄은 엘살바도르와의 협력을 통해 비트코인 및 디지털 자산 인프라 개발, 그리고 암호화폐 채굴을 위한 에너지 개발에 대한 지식 공유 및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월 양국은 이에 대한 의향서에 서명했으며, 빈 사킵 장관은 이 협력이 국제통화기금(IMF) 프로그램 하에 있는 신흥 경제국들이 국가 성장을 위해 기술 및 금융 도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키스탄 국립 암호화폐 위원회를 비롯한 규제 당국은 현재 포괄적인 디지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당 프레임워크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라이선싱,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개발, 스테이블코인 발행, 그리고 잉여 에너지를 활용한 비트코인 채굴 등의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 같은 광범위한 접근 방식은 파키스탄이 디지털 경제 시대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동시에, 대규모 비트코인 채굴 시설 도입은 전력망 안정성, 환경 영향, 그리고 국제사회의 규제적 압력 등 다양한 도전 과제를 수반할 수 있다. 잉여 전력을 활용하더라도, 채굴 시설의 확장과 운영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파키스탄 정부는 이러한 잠재적 위험 요소를 관리하면서도, 국가의 디지털 경제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시도는 국가의 에너지 정책과 디지털 경제 전략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