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거점을 둔 오케이코인(OKCoin) 재팬이 IOST 상장일정을 9월3일 공식발표했다. IOST 입금은 2021년 9월 10일 금요일 17:00(한국시간)에 열리며, IOST 거래시작은 2021년 9월 15일(수) 17:00(한국시간)에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진입장벽이 높은 일본시장의 문을 두드리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온 IOST는 2020년 일본금융청(FSA)의 화이트리스트에 29번째로 승인된 코인이 되어 일본 내 거래를 시작했다. 이미 일본 내 대형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체크(CoinCheck)에 상장된 IOST가 이번 오케이코인 재팬 상장 이후 어떤 행보를 보일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IOST는 싱가포르에 재단을 둔 중국계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로 일본에서의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노력은 단순한 상장을 통한 시장 진입만이 아닌 다방면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IOST는 일본 엔화 페깅 스테이블 코인인 'JPYA'를 출시하고 일본 킨다이 대학교와 공동으로 해커톤 행사를 공동 주최, 일본 종합격투기 단체 라이진(RIZIN)의 NFT 발행 플랫폼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타임
유럽의 합법적인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스마트밸러(Smart Valor)가 한국시간 9월3일(오전8시)~9월14일(오전8시) 자체 보유한 거래소 플랫폼에서 거래 이벤트를 진행한다. 스마트밸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 하락 여부를 정한 뒤, 정해진 기간내 플랫폼에서 거래를 할 경우, 거래량 기준 100명 까지 비트코인을 순위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이벤트를 통해 최대 5천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다. 이번 이벤트를 주최한 스마트밸러는 상반기의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성과공유회를 통해 나타난 바에 따르면, 스마트밸러는 설립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한 분기였으며, 1분기 대비 250%의 거래량 상승 및 28% 이상의 신규유저 유입이 있었다고 밝혔다. 스마트밸러 측에 따르면 올 한해 많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들이 여러가지 법적 이슈에 휘말리고 있지만, 스마트밸러는 법정 테두리 하에서 견실히 성장해왔기 때문에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관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밸러는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에 법인을 둔 디지털 자산 거래소이다. 스마트밸러는 유럽에 기반을 둔 만큼, 유럽내에서 통용될 수 있는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거
일본 종합격투기 단체인 라이진(RIZIN)이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 IOST 기반으로 한 NFT 마켓플레이스를 런칭한다. IOST에 따르면 지난 8월21일 일본 국내 매체를 통해 "라이징 파이팅 콜렉션(RIZIN FIGHTING COLLECTION)"이라는 이름의 NFT 마켓플레이스를 런칭 계획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2021년 말까지 출시 예정인 라이진 파이팅 콜렉션은 사용자가 경기 하이라이트, 베스트 사진과 같은 NFT를 수집, 매매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이다. 이번 NFT마켓플레이스 구축에 IOST 플랫폼을 사용한 이유로 빠른 거래 속도, 저렴한 수수료, 일본 내 인지도와 활동등에 기인한 선택으로 알려졌다. 한편 IOST는 싱가포르에 재단을 둔 중국계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로 저변 확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중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 일본 금융청(FSA)이 인허가 하는 화이트리스트에 등재해야 자국 내에서 거래가 가능한 특수성이 있음에도 지속적인 시장 진입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결과 IOST는 일본 시장에서 29번째로 승인을 받아 일본 내 대형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체크(CoinCheck)에 상장된 바 있다. 이런 노력은 단순한 상장을 통한 시장
탈중앙화 ID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프로젝트 밸리디티(Validity)가 새로운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밸리디티에 따르면 이번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스테이킹 경험을 보다 강화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적인 보완작업이 이루어졌다. 특히 밸리디티 클라이언트의 성능, 그래픽 디자인(UI)를 개선하고, 부정확한 언어 번역을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밸리디티는 작년 12월, 2014년부터 유지해온 브랜드인 '라디움(Radium)'을 현재의 '밸리디티(Validity)'로 리브랜딩을 단행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는 기능 개선 측면도 있지만, 리브랜딩과 함께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 커뮤니티로 확대 및 지원 작업의 일환으로 보인다. 한편, 밸리디티는 2014년 부터 시작된 프로젝트로 탈중앙화 신원인증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확장성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 탈중앙화 신원인증, 블록체인 디지털 서명, 온라인 투표, 텍스트 노트 기능 제공, 친환경 스테이킹을 제시하고 있으며, 초창기 부터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개발을 진행하는 중이다. 밸리티의 자체발행 토큰인 VAL은 현재 한국의 업비트(Upbit)를 비롯, Bi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스마트밸러(Smart Valor)가 '21년 2분기 성과와 향후 계획을 온라인으로 공개했다. 공동설립자인 올가 펠드마이어(Olaga Feldmeier)가 직접 밝힌 이번 성과공유회에서는 특히 거래소와 B2B사업 추후 자금 조달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다. 스마트밸러에 따르면 지난 2분기는 스마트밸러 설립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한 분기였으며, 1분기 대비 250%의 거래량 상승 및 28% 이상의 신규유저 유입이 있었다고 밝혔다. 올가에 따르면 각국의 규제기관들로 인해 디지털 자산 거래소들이 여러가지 법적 이슈에 휘말리고 있지만, 스마트밸러는 법정 테두리 하에서 견실히 성장해왔기 때문에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관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재 12개에 달하는 기관과 사업협업을 논의중이며, 이 중 한 곳은 곧 계약이 체결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스마트밸러는 본인들이 가진 신뢰할 수 있는 법인이라는 강점을 통해 3분기에는 사용자들이 어려워 하고, 리스크에 대한 두려움이 큰 디파이 파밍(DeFi Farming)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런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긴 기간 감사업체로 부터 법적 심사를 받고
미국의 블록체인 기반 VPN 프로젝트 오키드 프로토콜(Orchid Protocol)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스티븐 워터하우스가 유럽 최대 규모의 이더리움 기술 및 커뮤니티 포럼인 'ETHcc'에 참여해 연설을 진행했다. 본 연설을 통해 스티븐 워터하우슨느 종단간 암호화 및 탈중앙화가 온라인 개인정보를 어떻게 보호해야하고 강화하는데 역할해야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글로벌 사회에서 이제 암호화는 금융과 통신에서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 되어 개인과 기업의 일상생활과 운영에조차 일정부분 암호화가 이미 내장되어 있다. 그 예로 왓츠앱, 벤모, 텔레그램, 애플, 페이팔과 같은 인기 있는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모두 암호화 기술을 도입해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문제는 이렇게 범용화된 암호화 기술을 악용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그는 특히 P2P 암호화의 경우 이런 경향이 더 심하며, 각국의 정부는 공공 안전을 가장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암호화를 무너뜨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범죄와의 싸움은 당국이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백도어'를 기업에 제공하도록 강제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백도어 권한은암호화된 데이터에 액세
중극 플랫폼 프로젝트 IOST를 기반으로 한 NFT마켓플레이스 '리바이벌(REVIVAL)이 공식 런칭했다. 리바이벌은 IOST의 주요 서드파티 파트너 중 한 곳인 이모지 네트워크(EMOJI Network)가 만든 마켓 플레이스다. 리바이벌은 주요 특징으로 기존 이더리움 기반 NFT마켓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높은 가스비용, NFT 발행(Minting)비용, 느린 속도를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에 IOST플랫폼이 최적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런칭은 NFT 작품 제작, 경매, 정기 판매 등의 기능이 포함된 1단계 개발버젼 런칭으로 알려졌다. 이런 기술적인 장점 외에도, 리바이벌 플랫폼 보다 손쉬운 사용자 환경, 자체적으로 보유한 산업 네트워크를 활용한 홍보 등에서도 플랫폼에 참여한 크리에이터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발표했다. 리바이벌은 보다 NFT시장 내 입지 강화를 위한 일환으로 지난 6월 초 NFT 크리에이터를 위한 전용펀드인 '메디치(Medici) 펀드'결성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강력한 인센티브 요인으로, 발행과 유통에 있어서의 비용효율 뿐 만 아니라, 플랫폼에 작품을 등재하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이모지 네트워크의 자체발행토큰 ' LO
랩퍼 토리 라네즈(Tory Lanez)가 6월29일 벨 에어(Bel Air)의 개인 저택에서 음악 아티스트와 소셜 인플루언서를 위한 NFT(Non- Fungible Token)마켓 플레이스 'YAAAS'와 함께하는 파티를 개최했다. 라네즈는 NFT공간에서 유명한 혁신가이자 NFT로 트랙을 발표한 최초의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파티에 참석 한 게스트로, 뮤직 아티스트는 크리스 브라운(Chris Brown), 제레미 믹스(Jeremy Meeks), 쳇 행크스(Chet Hanks), 카일 매시(Kyle Massey), 마리오(Mario)를 비롯, 사진 작가 엘렌 폰 운어스(Ellen von Unwerth), 스타 디자이너 제프 해밀턴(Jeff Hamilton) 등이 있다. YAAAS는 왐프로토콜 유한회사(WOM Protocol Pte)가 새롭게 런칭한 NFT마켓 플레이스로, 판매, 협업, 네트워킹 등 소셜 인플루언서와 음악 아티스트를 여러 커뮤니티와 연결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달 초에 출시된 YAAAS 마켓 플레이스는 사용자가 향후 개발을 테스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YAAAS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음악 아티스트는 사회
이모지 네트워크(EMOGI Network)가 자체 NFT마켓인 '리바이벌(Revival)'마켓 플레이스를 공개한다. 6월말 런칭 예정이었던 리바이벌은 플랫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런칭일자를 잠정적으로 연기한 바 있다. IOST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이자 주요 파트너 노드(IOST와 기술,마케팅,지원 분야에서 밀접한 협업을 하는 서드파티)인 이모지는 자체 발행 토큰인 LOL을 보유한 프로젝트로, 기존 이더리움 기반 NFT마켓의 높은 가스비용, NFT 발행(Minting)비용, 느린 속도로 인해 열악한 사용자 경험환경에서 혁신적인 NFT마켓을 공개 한다. NFT마켓을 향한 시장 확대는 비단 플랫폼 개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리바이벌은 생태계 조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조성한 2천만 달러에 달하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전용 펀드를 활용, '메디치(Medici) 프로그램'을 6월 초 공개하기도 했다. 이모지 네트워크의 CEO 레이 샤오(Ray Xiao)는 메디치 프로그램 공개와 함께 "저희는 르네상스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과 같은 많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의 후원자인 메디치 가문의 이름을 따서 이번 프로그램을 명명했습니다. 저희는 메디치가 시대
스위스의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스마트밸러(SMART VALOR)가 카르다노(Cardano)네트워크의 자체 발행 토큰 에이다(ADA)를 상장했다. 카르다노 재단은 비영리재단 기관으로, 카르다노 네트워크의 개발 전반과 모니터링을 담당하고 있으며, 마케팅과 파트너십을 주요 업무로 하는 이머르고(EMURGO)와 세부 개발을 실제로 진행하는 IOHK와 함께 네트워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IOHK는 이더리움 초기 설립자로 알려진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가 주도해 만든 개발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에이다는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상장을 통해 스마트밸러에서 에이다는 미국 달러, 유로,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등으로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스마트밸러는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을 중심으로 활동중이며,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거래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보유중인 복합 디지털 자산 플랫폼이다. 현재 핀테크 스타트업에게 한시적으로 소규모 은행에 준하는 권한을 주는 스위스의 '핀테크 라이센스'에 등록절차를 마치고 여러 규제안에 맞춰 제도권 편입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지난 2분기 스위스 정부 산하 스타